
KAIST는 논술고사를 실시하지 않으며, 수시 Regular Admission(일반/고른기회/특기자) 전형에서 면접을 통해 지원자의 학업역량과 전공적합성을 종합 평가합니다. 이에 따라 매년 공개되는 선행학습영향평가보고서(선행보고서)는 면접 준비에 매우 중요한 참고 자료로, 면접 유형별 기출문제와 평가 요소를 구체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아래는 2026학년도 KAIST 면접 기출문제 분석과 효율적인 준비 전략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1. KAIST 면접 전형 개요
KAIST의 면접은 크게 두 유형으로 구성됩니다:
- 학업역량 면접: 교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구술면접 (수학, 영어, 과학 중 택1)
- 적합성 면접: 제출서류 기반의 전공적합성, 문제해결력, 가치관 등을 묻는 구술면접
학업역량 면접은 Regular Admission의 일반전형 및 고른기회전형 지원자에게만 적용되며, 특기자전형은 면접을 실시하되 학업역량 면접은 생략됩니다.
2. 학업역량 면접 기출문제 분석
(1) 수학
- 주제: 함수, 수열, 귀납법, 기하
- 문항 예시:
-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을 분석하고, 수학적 귀납법으로 명제 증명
- 함수의 증가/감소 판단, 수열의 극한과 범위 추론
- 원의 접선과 할선의 성질을 활용해 접선/할선의 개수 추론
- 평가 요소:
- 정의/성질 이해
- 논리적 추론
- 함수 해석 및 도형 판단 능력
(2) 물리학
- 주제: 뉴턴 법칙, 전기장, 이중슬릿 간섭
- 문항 예시:
- 전기장 내 구슬의 운동을 정량 분석 (힘의 합성, 등가속도 등)
- 이중슬릿 간섭에서 경로차에 따른 무늬의 변화 예측
- 평가 요소:
- 역학적 개념 적용
- 실험적 상황 분석 및 정량 계산
(3) 화학
- 주제: 반응속도, 화학 결합, 촉매 효율, 몰 개념
- 문항 예시:
- 촉매의 표면적과 반응속도 관계 분석, 반감기의 이론/실험 차이 인식
- 원자간 결합과 생명분자의 특성 연계 분석
- 평가 요소:
- 실험자료 해석력
- 화학 현상의 설명 및 창의적 제안
(4) 생명과학
- 주제: 항상성, 삼투압 조절, 광합성, 유전자 발현
- 문항 예시:
- 항이뇨 호르몬의 조절 메커니즘 분석
- 광합성과 TCA 회로를 연계한 물질순환 설명
- 평가 요소:
- 생리현상 이해
- 유전자 및 에너지 흐름 개념 통합
(5) 영어
- 주제: 독해력,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 문항 예시:
- 초기 인류의 진화와 기술적 차이에 대한 지문 독해 및 의견 제시
- 평가 요소:
- 세부 정보 이해
- 어휘 추론
- 자신의 의견을 영어로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능력
3. 적합성 면접 기출문제 분석
- 문항 예시: K대학교의 전동킥보드 운행 금지 조치 관련 문제
- 구성원 간 가치 충돌과 지지 입장 선택
- 특별위원회 초빙 인사 제안과 이유 설명
- 모빌리티 창업 아이디어 제안 및 장단점 설명
- 평가 요소:
-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점 이해
- 논리적 분석 및 비판적 사고
- 창의적인 문제해결 아이디어 제시
4. 면접 진행 절차 요약
- 면접 준비 시간: 총 60분 (과학 15분 → 수학/영어 문제지 배부 → 적합성 제시문 제공)
- 면접 진행 시간:
- 학업역량 면접: 수학/과학/영어 구술면접 15분
- 적합성 면접: 제출서류 기반 구술면접 15분
- 특기자 면접: 학업역량 생략, 적합성 면접 20분 (발표 포함)
5. 면접 대비 전략
- 기출문제 분석:
- KAIST 홈페이지의 ‘면접 기출문제’ 자료를 반복 학습하며 문제 유형 파악
- 교과개념 심화 학습:
- 고교 수학/과학 개념의 원리 이해와 응용력 강화
- 창의적 사고력 훈련:
- 현실문제 기반 아이디어 도출 훈련 (적합성 면접 대비)
- 영어 의사소통 연습:
- 지문 독해 후 요약 및 의견 발표 연습
- 모의면접 실시:
- 실제 면접 상황을 가정한 연습을 통해 시간 관리 및 긴장 완화 훈련
6. 결론: KAIST 면접의 핵심은 ‘문제 해결력과 통합적 사고’
KAIST 면접은 단순히 교과 지식을 묻는 것이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석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해나가는 역량을 중점적으로 평가합니다. 과학기술 기반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성과 융합형 사고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인 만큼, 단편적인 암기보다는 통합적 이해와 실전적 사고력이 핵심입니다.
2026학년도 KAIST를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지금 이 시점부터 면접 기출문제를 충분히 분석하고, 자신만의 논리와 창의성을 발전시켜가는 준비가 필요합니다. 입시에서 KAIST의 관문을 통과하기 위한 진정한 경쟁력은 ‘깊이 있는 이해와 문제해결을 향한 탐구력’임을 잊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