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후기고 입시: 평준화 비평준화 지역 고입 전략

2026 후기고 입시: 평준화 비평준화 지역 고입 전략
2026 후기고 입시: 평준화 비평준화 지역 고입 전략

안녕하세요, 2026학년도 고입을 준비하는 수험생과 학부모 여러분! 12월은 과학고, 영재학교에 이어 자사고, 외고, 국제고, 일반고 등 대부분의 고등학교 입시가 몰려있는 ‘후기고 입시’ 시즌입니다.

2019년 ‘고입 동시실시’ 정책이 도입된 이후, 많은 특목자사고가 일반고와 동일한 후기 모집으로 이동하면서 지원 전략이 매우 복잡해졌습니다. 특히 여러 학교에 지원할 수 있는지 묻는 ‘중복지원’ 관련 규정은 매년 가장 많은 수험생이 혼란을 겪는 부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사고, 외고, 국제고를 중심으로 2026학년도 후기고 입시의 핵심인 지원 범위와 ‘중복지원 금지’ 규정, 그리고 ‘일반고 동시지원’ 가능 여부까지 완벽하게 총정리해 드립니다.


지원 범위부터 다르다: 전국단위 vs 광역단위

 

후기고는 지원 자격에 따라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내가 어떤 학교에 지원할 수 있는지부터 확인해야 합니다.

  • 전국단위 모집 (거주지 무관)

    • 전국단위 자사고 (민사고, 김천고, 외대부고 등)

    • 전국단위 자율학교 (공주사대부고, 한일고 등)

    • [예외] 비평준화 일반고인 한민고의 ‘군인자녀전형'(정원 70%)은 전국단위로 선발합니다.

  • 광역단위 모집 (거주지 내에서만 지원)

    • 외국어고등학교 (외고)

    • 광역단위 자사고 (서울, 부산, 대구 등 지역 내 자사고)

    • 원칙: 자신이 거주하는 광역 시·도(예: 서울특별시) 내의 학교에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 ‘준 전국단위’ 모집 (국제고)

    • **국제고등학교 (국제고)**는 매우 독특한 선발 체제를 가집니다.

    • 원칙: 외고처럼 ‘광역단위’ 모집이 원칙입니다. (예: 서울 거주자는 서울국제고만 지원 가능)

    • 예외: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 국제고가 없는 경우, 전국 8개 국제고 중 어디든 지원할 수 있습니다. (예: 국제고가 없는 강원도, 광주, 대전, 울산, 충북, 충남 등의 학생들은 서울국제고나 부산국제고 등에 지원 가능)


2026 고입 최대 함정: ‘중복지원 금지’ 규정 (필독!)

 

후기고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절대 규칙’입니다. 자사고, 외고, 국제고 중에서는 단 1개의 학교만 선택해서 지원해야 합니다. 이는 고교 유형이 달라도, 모집 단위가 달라도 예외 없이 적용됩니다.

  • [규칙 1] 자사고 vs 외고/국제고 (X)

    • 예: 전국단위 자사고인 ‘외대부고’에 지원했다면, ‘대원외고’나 ‘서울국제고’에 동시 지원할 수 없습니다.

  • [규칙 2] 외고 vs 국제고 (X)

    • 예: ‘서울국제고’에 지원했다면, ‘한영외고’에 동시 지원할 수 없습니다.

  • [규칙 3] 동일 유형 내 2개교 (X)

    • 예: ‘대원외고’와 ‘대일외고’에 동시 지원할 수 없습니다.

  • [규칙 4] 전국 자사고 vs 광역 자사고 (X)

    • 예: 전국단위 자사고인 ‘김천고’에 지원했다면, 서울 내 광역 자사고인 ‘A고교’에 동시 지원할 수 없습니다.

경고: 중복지원 시 합격 취소

원서접수 이후 중복지원 사실이 확인될 경우, 모든 학교의 합격이 취소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고’는 어떻게 지원하나요? (평준화 vs 비평준화)

 

자사고/외고/국제고에 불합격했을 때의 ‘플랜 B’인 일반고 지원은 거주 지역이 ‘평준화’인지 ‘비평준화’인지에 따라 완전히 달라집니다.

1) 평준화 지역 (예: 서울 대부분 지역)

 

▶ 동시 지원 ‘가능’ (단, 불합격 시 불이익 존재)

평준화 지역 학생들은 자사고/외고/국제고 지원과 일반고 배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지원 방식:

    • 1지망: 자사고, 외고, 국제고 중 1곳을 선택해 지원합니다.

    • 2지망: 1지망 학교가 속한 학교군 내의 일반고 2곳을 선택합니다. (지역별 상이)

  • 주의사항: 1지망 특목자사고에 지원했다가 불합격할 경우, 일반고 배정에서 1지망으로 일반고를 쓴 학생들보다 후순위로 밀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 원하지 않는 학교나 원거리 학교에 배정될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2) 비평준화 지역 (예: 경기 화성, 오산 등)

 

▶ 동시 지원 ‘불가’ (오직 1개의 학교만 선택)

비평준화 지역의 규칙은 훨씬 간단하지만, 위험 부담이 큽니다.

  • 지원 방식: 후기고(자사고, 외고, 국제고, 일반고 포함) 중에서 단 1개의 학교만 선택해서 지원해야 합니다.

  • 주의사항: 만약 전국단위 자사고나 외고에 지원했다면, 거주지 내 일반고에는 원서조차 낼 수 없습니다. 1지망 학교에서 불합격할 경우, 미달된 다른 학교의 추가모집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참고: 헷갈리는 고입 전형 시기 (전기/후기/특차)

 

고입 전형 시기를 혼동하면 후기고 지원 자격 자체가 박탈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 특차 (영재학교): 영재학교는 선발 시기가 가장 빠릅니다. 합격/불합격 여부와 관계없이 후기고(자사고, 외고, 일반고 등)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 전기 (과고, 예고, 마이스터고 등):

    • 주의: 과학고, 예고 등 전기 고등학교에 최종 합격한 학생은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후기고(자사고, 외고, 일반고 등)에 절대 지원할 수 없습니다. (대입의 ‘수시 납치’와 유사)

  • 후기 (자사고, 외고, 국제고, 일반고):

    • 이 글에서 다루는 전형입니다. 영재학교 합격생은 지원 가능, 과고 합격생은 지원 불가능합니다.


2026 후기고 입시, 성공 전략 요약

 

복잡한 2026학년도 후기고 입시를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한 핵심 전략을 요약합니다.

  1. 지원 카드는 단 한 장: ‘자사고, 외고, 국제고’ 중에서는 반드시 1곳만 선택해야 합니다.

  2. 거주지 확인: 내가 거주하는 지역이 ‘평준화’인지 ‘비평준화’인지 반드시 확인하여 일반고 동시지원 전략을 다르게 세워야 합니다.

  3. 전기 고교 합격 확인: 만약 과학고 등 전기 고교에 합격했다면, 후기고 지원 자격이 없습니다.

  4. 학교 유형 확인: 지원하려는 학교가 전국단위인지, 광역단위인지, 국제고(준 전국)인지 확인하여 지원 자격을 점검하세요.

학교알리미사이트 바로가기: https://www.schoolinfo.go.kr/Main.do

평준화와 비평준화 지역의 차이와 고입 전략 가이드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