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학년도 서울대학교 수시모집 계획이 발표되었습니다. 교육부의 첨단분야 정원 증원 정책에 따라 컴퓨터공학부와 산업공학과 인원이 30명 순증하는 등 주목할 만한 변화가 많습니다. 서울대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2026학년도 수시 전형의 핵심 변경사항과 전형별 특징을 상세히 분석해 드립니다.
가장 눈에 띄는 핵심 변경사항 TOP 4
2026학년도 서울대 입시에서는 지원자의 선택권을 넓히고 잠재력을 다각도로 평가하려는 변화가 돋보입니다.
- 첨단분야 학과 정원 순증: 컴퓨터공학부(+21명), 산업공학과(+9명)의 정원이 총 30명 늘어납니다. 자연계열 최상위권 학생들의 입시 판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 간호대학 다중미니면접(MMI) 도입: 수시 일반전형에서 기존 의·치·수 계열에서만 실시하던 다중미니면접(MMI)을 간호대학에도 확대 적용합니다. 단순 지식 평가를 넘어 간호학에 필요한 자질, 적성, 인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 식품영양학과 면접 방식 변경: 수시 일반전형에서 기존 ‘화학, 생명과학’ 제시문 외에 ‘사회과학, 수학(인문)’ 제시문을 선택할 수 있는 ‘유형2’가 신설되었습니다. 인문계열 학생도 지원할 수 있도록 문호를 넓힌 것이 특징입니다.
- 전공 연계 교과이수 과목 변경: 화공생명공학부, 식품영양학과, 첨단융합학부의 권장과목이 일부 변경되었습니다. 희망 전공에 맞춰 고교 시절 과목 선택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수시 전형별 상세 분석 및 대비 전략
1. 지역균형전형 (509명 모집)
고교별 2명 이내의 추천을 받은 졸업예정자만 지원할 수 있는 전형입니다.
- 전형 방법: 1단계(서류 100%, 3배수 선발) → 2단계(1단계 성적 70% + 면접 30%)
-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 (국어, 수학, 영어, 탐구(2과목 평균) 중 3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
- 면접 특징: 제출된 서류(학생부)를 기반으로 학업 소양을 확인하는 서류 확인 면접을 10분 내외로 진행합니다. 단, 의과대학은 60분 내외의 다중미니면접(MMI)을 실시합니다.
- 핵심 전략: 학교장 추천이 필요한 만큼 안정적인 교과 성적과 충실한 학교생활기록부 내용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는 것이 최종 합격의 필수 조건이므로 수능 대비에도 소홀해서는 안 됩니다.
2. 일반전형 (1,515명 모집)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며, 졸업(예정)자 및 동등 학력 소지자 누구나 지원 가능해 경쟁이 치열한 전형입니다.
- 전형 방법: 1단계(서류 100%, 2배수 선발) → 2단계(1단계 성적 50% + 면접 및 구술고사 50%)
-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적용 (단, 미대 디자인과, 사대 체육교육과는 적용)
- 면접 특징: 단순 서류 확인이 아닌 제시문 기반 면접 및 구술고사로 진행됩니다. 모집단위별로 평가 내용과 준비 시간이 다르며, 주어진 제시문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능력과 논리적, 창의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 주요 변화:
- 간호대: 30분 내외의 다중미니면접(MMI) 도입
- 식품영양학과: ‘화학·생명과학’ 제시문과 ‘사회과학·수학(인문)’ 제시문 중 선택 가능
- 의·치·수의예과: 다중미니면접(MMI) 실시
- 주요 변화:
- 핵심 전략: 1단계 통과를 위한 서류의 깊이와 함께, 2단계 당락을 좌우하는 면접 및 구술고사 대비가 핵심입니다. 지원 전공과 관련된 교과 기본 개념을 완벽히 숙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펼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특히 MMI가 도입되는 모집단위 지원자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과 윤리 의식을 보여주는 훈련이 중요합니다.
3. 기회균형특별전형(사회통합) (179명 모집)
농어촌 학생, 저소득 학생 등 특정 자격 요건을 갖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 전형 방법: 1단계(서류 100%, 2배수 선발) → 2단계(1단계 성적 70% + 면접 30%)
-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적용
- 면접 특징: 지역균형전형과 같이 서류 확인 면접으로 진행됩니다. (단, 의대는 MMI 실시)
- 핵심 전략: 지원 자격을 충족하는 것이 우선이며, 주어진 교육 환경 내에서 학업과 활동에 얼마나 충실했는지를 서류를 통해 증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면접은 서류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진솔하게 설명하는 방향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합격의 KEY: 전공 연계 교과이수 과목과 교과이수기준
서울대는 수시 서류평가와 정시 교과평가에서 학생의 과목 선택 현황을 중요하게 반영합니다. 지원 전공과 관련된 ‘핵심 권장과목’과 ‘권장과목’을 이수하는 것이 서류평가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데 유리합니다.
- 교과이수기준 충족: 사회/과학 탐구 영역과 생활/교양 영역에서 제시된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 2026학년도 변경사항:
- 화공생명공학부: 핵심 권장 ‘미적분’, 권장 ‘확률과 통계’ 또는 ‘물리학Ⅰ’ 또는 ‘화학Ⅰ’
- 식품영양학과: 권장 ‘화학Ⅰ’, ‘생명과학Ⅰ’
- 첨단융합학부: 핵심 권장 ‘미적분’, 권장 ‘확률과 통계’ 또는 ‘물리학Ⅰ’ 또는 ‘화학Ⅰ’ 또는 ‘생명과학Ⅰ’
2026학년도 수시 주요 전형 일정
- 원서 접수: 2025년 9월 8일 (월) ~ 9월 10일 (수)
- 1단계 합격자 발표:
- 일반전형/기회균형: 2025년 11월 14일 (금)
- 지역균형전형: 2025년 11월 21일 (금)
- 면접 및 구술고사:
- 일반전형: 2025년 11월 21일 (금) ~ 22일 (토)
- 지역균형/기회균형: 2025년 11월 28일 (금) ~ 29일 (토)
- 최초 합격자 발표: 2025년 12월 12일 (금)
2026학년도 서울대 수시는 지원자의 선택권을 넓히는 방향으로 변화하면서도, 전공 공부에 필요한 핵심 역량과 학업 충실도를 더욱 깊이 있게 평가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변경된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자신의 강점과 지원 전공에 맞춰 남은 기간 체계적으로 준비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