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KAIST, POSTECH 등 국내 최상위 이공계 특성화대학에 높은 진학률을 자랑하며 경남 지역을 대표하는 과학 인재 양성의 산실로 자리 잡은 창원과학고등학교의 2026학년도 입학전형요강이 발표되었습니다.
올해 입시의 가장 큰 특징은 1단계 서류평가 시 내신 성적 반영 비율이 변경되고, 단계별 선발 인원이 소폭 조정되어 전형 과정이 더욱 촘촘해졌다는 점입니다. 서류평가, 소집면담, 면접평가로 이어지는 정교한 3단계 전형을 어떻게 통과해야 하는지, 합격의 당락을 가르는 자기소개서 문항별 작성법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합격 전략을 제시합니다.
1. 2026학년도 주요 변경 사항: 평가 기준의 미세 조정
2026학년도 창원과고 입시는 큰 틀은 유지하되, 평가의 세부 기준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지원자의 역량을 더욱 정교하게 평가하려는 의도가 엿보입니다.
- 내신 성적 반영 비율 변경: 3학년 1학기 비중 완화, 2학년 비중 강화
- 2025학년도 (이전): 2학년 1학기(20%), 2학년 2학기(30%), 3학년 1학기(50%)
- 2026학년도 (변경): 2학년 1학기(30%), 2학년 2학기(30%), 3학년 1학기(40%)
- 시사점: 여전히 3학년 1학기 성적이 가장 중요하지만, 비중이 다소 줄고 2학년 1학기 성적의 비중이 늘었습니다. 이는 특정 학기의 성과보다는 2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꾸준하고 안정적인 학업 역량을 더 중요하게 평가하겠다는 신호입니다.
- 단계별 선발 인원 조정: 2단계 소집면담 대상자가 모집 정원의 3배수에서 2.5배수로, 3단계 면접평가 대상자가 1.7배수에서 1.6배수로 소폭 축소되었습니다. 이는 각 단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음을 의미하며, 1단계 서류평가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학업성취도 조건 삭제: 지난해까지 있었던 ‘수학·과학 학업성취도 C 이상’ 조건이 삭제되어 지원 문턱이 낮아졌습니다.
2. 3단계 전형 완벽 분석: 서류부터 면접평가까지의 여정
창원과고의 자기주도학습전형은 총 3단계에 걸쳐 지원자를 심층적으로 평가하며, 각 단계별로 평가 요소와 선발 인원이 정해져 있습니다.
1단계: 서류평가
1단계에서는 지원자가 제출한 서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2.5배수(약 200명) 내외의 2단계 소집면담 대상자를 선발합니다.
- 평가자료: 학교생활기록부Ⅱ, 자기소개서, 추천서
- 내신 성적: 위에서 설명한 변경된 비율(30%-30%-40%)로 최근 3개 학기의 수학·과학 성취도를 반영합니다.
2단계: 소집면담
1단계를 통과한 200여 명의 학생은 학교에 직접 출석하여 개별 면담을 치릅니다. 이 단계에서 다시 1.6배수(약 128명) 내외를 선발하여 최종 면접으로 넘기는, 매우 중요한 중간 필터링 과정입니다.
- 평가내용: 제출 서류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서류만으로는 파악하기 힘든 수학·과학(정보 포함)에 대한 창의성, 잠재역량, 핵심 인성 요소 등을 심층적으로 확인합니다.
3단계: 면접평가
최종 관문인 면접평가는 ‘창의·인성 면접’으로, 지원자의 핵심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단계입니다. 3학년 2학기 성적이 이 단계에서 추가로 합산됩니다.
- 평가내용: 수학, 과학에 대한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통해 지원자의 문제 해결 과정을 심도 있게 들여다봅니다.
3. 합격의 열쇠, 자기소개서 문항별 작성 전략
창원과고의 자기소개서는 총 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지원자의 역량을 다각도로 평가합니다.
- 문항 1: 지원 동기 및 진로 계획 (400자 이내): 왜 ‘창원과학고’인지, 입학 후 학습 계획과 장래 희망을 구체적으로 서술해야 합니다.
- 문항 2 & 3: 수학 및 과학 학습 및 탐구 활동 (각 1,000자 이내): 수학과 과학 각 분야에서 크게 성장할 수 있었던 학습 경험과 탐구 활동 사례를 두 가지씩(각 500자) 나누어 자세하게 기술해야 합니다. 이는 하나의 거대하고 화려한 탐구 경험보다, 작더라도 여러 분야에 걸친 꾸준한 지적 호기심과 탐구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합니다.
- 문항 4: 인성 및 다양한 활동 (600자 이내): 주변 사람들과 사회를 위해 실천한 활동이나 독서활동을 통해 자신의 성장과 변화를 이끈 구체적인 사례를 서술해야 합니다. 인성 영역과 독서 활동을 융합하여 평가하려는 의도가 엿보입니다.
4. 숫자로 보는 창원과고의 명성: 대입 실적 및 경쟁률 분석
창원과고의 우수한 교육력은 객관적인 수치로 증명됩니다.
경쟁률은 2025학년도 3.16 대 1, 2024학년도 2.75 대 1, 2023학년도 2.96 대 1로, 꾸준히 높은 경쟁률을 유지하며 최상위권 학생들의 높은 선호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론: 2026학년도 창원과고, ‘꾸준함’과 ‘진정성’을 갖춘 인재를 찾는다
2026학년도 창원과고 입시는 지원자에게 “특정 시기의 반짝이는 성과가 아닌, 장기간에 걸친 꾸준한 성실함과 진정성 있는 탐구 과정을 보여달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3단계에 걸친 심층적인 평가 과정과 내신 반영 비율의 조정은, 2학년부터 3학년까지 꾸준히 자신의 역량을 발전시켜 온 학생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자신의 3년간의 활동을 되돌아보고, 창원과고가 찾는 인재상에 맞춰 자신의 성장 스토리를 논리적이고 진솔하게 담아내는 것, 그것이 바로 합격으로 가는 가장 확실한 길입니다.